산업안전보건법7 산업안전보건법, 제4장 유해, 위험 방지 조치, 위험성평가, 안전보건계획 수립 등 안녕하세요. 사업장에서의 안전을 위해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유해, 위험 방지 조치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이 내용에 대해 오늘은 살펴볼게요. 사업장의 안전, 보건관리를 위해 담당할 사람을 지정해서 이 일 하세요! 의 끝이 아닌 더 나아가서 유해, 위험 방지를 하기 위해서 다양한 조치를 해야합니다. 그중 대표적인 내용은 위험성평가를 시행해야 하는데요 위험성평가는 중대재해처벌법이 나오면서 많이 들었던 내용일 거예요. 아마도 중처법에서 나온 위험성평가가 산업안전보건법을 기틀로 해서 제작된 법이다 보니, 근본은 산업안전보건법의 기틀을 벗어나지는 않으니 이 업무를 하시는 분들은 산업안전보건법의 내용은 정확하고 빠삭하게 알고 계셔야 정확한 업무를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유해 위험방지 조치' 내용 안에 어떤 .. 2023. 12. 15. 산업안전보건법, 안전보건교육, 근로자안전보건교육, 면제대상, 직무교육, 안전보건교육기관 안녕하세요.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관리감독자 등을 선임한 후 산업현장을 위해 어떻게 관리를 해야 하고 뭘 해야 할까 라는 생각이 드실 거예요. 그중에 하나! 바로 산업안전보건교육은 해야 하는지 기준이 어떤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오늘은 산업안전보건교육 관련 법 조항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3장 안전보건교육 제29조(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① 사업주는 소속 근로자에게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정기적으로 안전보건교육을 하여야 한다. ② 사업주는 근로자를 채용할 때와 작업내용을 변경할 때에는 그 근로자에게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작업에 필요한 안전보건교육을 하여야 한다. 다만, 제31조제1항에 따른 안전보건교육을 이수한 .. 2023. 12. 14. 산업안전보건법, 안전보건관리체제/안전보건관리책임자,관리감독자,안전관리자,보건관리자,안전보건관리담당자 등 안녕하세요. 당연히 사회에서 이슈가 되어야 할 부분은 맞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에 많이 부각된 산업안전보건법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이 중에서도 안전보건관리체제에 대해 알아보려고하는데요, 우선 조직에서 산업안전보건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관리체제 먼저 꾸려야 하기 때문입니다. 우선 이러한 중요한 내용은 법의 테두리 안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산업안전보건법의 조항을 살펴보겠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의 제 2장, 제1절을 살펴보선 안전보건관리체제에 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2장 안전보건관리체제 등 제1절 안전보건관리체제 제14조(이사회 보고 및 승인 등) ① 「상법」 제170조에 따른 주식회사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회사의 대표이사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매년 회사의 안전 및 보건에.. 2023. 12. 13. 이전 1 2 다음